본문 바로가기

보양치료

[노원구 한의원] 알고 먹는 '보약' 상식 - 방용석 한의원

[노원구 한의원] 알고 먹는 '보약' 상식 - 방용석 한의원

 

 

 

 

 

보약의 '보'(補)는 보한다, 보태준다는 의미로 한방의 8가지 치료법 중 하나에 속하는 방법입니다.

 

한의학적 견지에서 본 보약의 약효는 부족해진 인체의 음양기혈을 보충하여 내부장기의 기능을 바로잡고, 음양기혈의 부족으로 생긴 여러가지 병증을 낮게 하는 치료법의 일종입니다.

 

 

 

 

 

 

 

보약의 약리작용

 

1. 보약은 장기조직들을 자극하여 약해진 기능을 높여 줍니다.

 

2. 몸에 필요한 영양물질을 보충해 줍니다.

 

3. 세포의 활동력을 높여주고 그 증식과 성장을 돕습니다.

 

4. 중추신경에 작용하여 뇌수의 기능을 높이고 사고력과 기억력을 좋게 합니다.

 

5. 근육의 활동능력을 높여 기운을 나게 하며 육체적 정신적 피로를 빨리 풀어줍니다.

 

6. 보약은 신체의 저항력을 높여 질병을 예방하는 작용을 합니다.

 

7. 보약은 노화과정을 늦춰주며 세포의 재생과정을 촉진시키며, 특히 호르몬 분비 기능의 퇴화를 막는 작용을 하며 노화의 주요징표인 동맥경화를 막는 작용을 합니다.

 

8. 몸의 전반적인 기능을 잘 조절하며 허증으로 인한 병을 치료하고 병후 회복을 돕습니다.

 

9. 쇠약해진 장기의 기능을 높여주며 일부 지나치게 항진된 기능을 억눌러 정상화하는 조절작용을 합니다.

 

 

 

 

 

허증의 종류 및 치료

 

보약은 우리 몸의 생리기능이 조화를 이루지 못할 때 오는 허증(신체의 허약상태)을 개선시켜 주는 치료제입니다.

 

허증은 몸 속의 영양과 관련된 물질(血)이 부족하거나, 활력을 일으키는 힘이 부족할 때 오게 됩니다.

 

허증은 크게 기허증, 혈허증, 음허증, 양허증으로 나뉘며 그에 따른 보약은 보기약, 보혈약, 보음약, 보양약이 있습니다.

 

 

 

 

 

기허증

 

기허증이 오게 되면 피곤함과 무력감이 심하고, 호흡이 얕으며, 움직이면 땀을 많이 흘리고, 혈압이 낮은 경우도 많습니다.

만성 쇠약성 질환에서 자주 보이며, 탈장이나 자궁 하수(여성의 경우)등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 보기약을 쓰는데, 보기약은 인체 대사기능을 높여 주고 영양을 좋게 하고 조직의 기능을 바로 잡아 줍니다.

보기하는 약물로는 인삼, 황기, 백출, 감초, 계피 등이 있고, 처방으로는 사군자탕, 보중익기탕, 삼령백출탕, 녹용대보탕 등을 들 수 있습니다.

 

 

 

혈허

 

혈허증이 오게 되면 안색이 창백해지고, 머리가 무겁고 어지러우며, 가슴이 두근거립니다. 여자의 경우 월경이 불규칙하거나 그 양이 적어지고 심하면 월경이 없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술, 산후, 각종 출혈성 질병 후에 자주 나타납니다.

 

이러한 경우 보혈약을 쓰는데, 보혈약은 조혈기능을 강화하거나 적혈구수를 높여 빈혈증상을 낫게 하는 외에 여성들의 질병 특히 월경 장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보혈하는 약물로는 당귀, 숙지황, 백작약, 아교, 하수오 등이 있고, 처방으로는 사물탕, 쌍화탕, 고진음자, 교애팔물탕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음허증

 

음허증이 오게 되면 갑자기 체중이 줄고, 입이 마르거나 피부가 거칠어지며, 상열감, 기침, 가슴 답답함 혹은 두근거림, 잠을 잘 이루지 못하기도 하며, 자다가 땀을 많이 흘리는 증세가 생깁니다. 남자인 경우 정력 감퇴와 유정증이 나타나고, 여자의 경우 월경량이 줄어들거나 월경주기가 변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 보음약을 쓰는데, 보음약은 보혈약의 작용을 도와주며 체내 구조적 물질의 결핍을 보충해 줍니다.

보음하는 약물로는 용안육, 산약, 산수유, 맥문동, 천문동, 구기자 등이 있고, 처방으로는 육미지황환, 대보음환, 자신환, 보신지황환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양허증

 

양허증이 오게 되면 추위를 쉽게 타고, 허리와 무릎이 시리고 약하며 간혹 통증이 있고, 다리가 약해져서 걷기가 힘들고, 설사를 하기도 합니다. 소변 횟수가 잦고 양이 적으며, 숨이 자주 차는데, 남자는 성기능이 약해지기도 합니다.

 

이러한 경우 보양약을 쓰는데, 보양약은 보기약의 작용을 보강하며 보양하는 약물로는 녹용, 녹각, 음양곽, 육종용, 부자 등이 있고, 처방으로는 신기환, 온신환, 수오구기탕 등을 들 수 있습니다.

 

※ 반드시 전문의와 상의하여 개인에 맞는 처방된 한약을 복용하셔야 효과가 있습니다.